DAT : Digital Audio Tape 

뭐...흔히 테이프 백업장치에서 DAT160, DAT72 이라고 불리우는 것들은

쉽게말해 데이터를 저장할 카세트 테이프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 옛날 카세트 테잎처럼 생겼으니...뭐 오디오도 어쨋든 데이터)

앞에 붙은 160과 72는 압축 용량을 말함 160GB, 72GB.

처음에는  CD음질의 오디오를 녹음하기 위해 만들어 졌는데, 소니와 휴렛팩커드(HP)가 이 DAT 카트리지를 가지고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해

정의한 것이 DDS (Digital Data Storage)이다.

다음은 DDS별 특징이다.

DDS라는 형식이 어떤식으로 기록하는지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은 출처 링크에서 확인하자.

  • DDS-1 : 120분용 카트리지에 압축되지 않은 데이터를 최대 2 GB까지 저장
  • DDS-2 : 120분용 카트리지에 데이터를 압축하여 최대 8 GB까지 저장. DDS-2는 소형 네트웍 서버에 이상적인 형식이다.
  • DDS-3 : 125분용 카트리지에 데이터를 최대 24 GB까지 저장. DDS-3는 중형 서버에 이상적인 형식이다. DDS-3는 PRML(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을 사용하는데, PRML은 데이터를 깨끗히 기록하기 위해 전자 잡음을 제거한다.
  • DDS-4 : 가장 최신형 DDS 드라이브로서, 125분용 카트리지에 데이터를 최대 40 GB까지 저장. 소형에서 중형 비즈니스들이 DDS-4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니까, 이 DAT160 DDS4 라고 한다면, 

원래는 오디오를 저장하기위해 만들어진 160GB 짜리 테이프에,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해 DDS4라는 형식을 적용한녀석임.

한마디로 어찌됐건 외부 저장장치.

이러한 Tape (Catridge:카트리지)에도 물론 수명이 있다.

2000번을 읽거나, 100번의 완전한 백업(Full Backup)을 거쳤을시에 수명을 다한다고 한다.


용어에서 헷갈리는점은 

'테이프 드라이브' 와 '테이프' 다. 라디오를 생각하면된다.

테이프 드라이브는 테이프를 읽기위한 장치를 말한다.  (=라디오)

테이프(=Catridge) 는 데이터를 저장한 장치를 말한다 (=라디오 테이프)

마찬가지로, 여기에도 클리닝 카트리지가 존재하는데, 매 24시간마다 청소해주라는것이 권장사항이고, 30회 정도가 수명.


+ 이런 카트리지에는 Write Protection이라는게 있다. 사진 참조.


'IT > 용어 및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S, NAS, SAN 이란?  (0) 2016.06.27
VSOE, DCOE, BSOE 란?  (0) 2016.06.27

● make_tape_recovery 진행시,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와 함께 백업이 불가능한 상황.

   

--------------------------------------------------------------------------------------------------------------------------------------------

pax: write : I/O error

pax: A write error has occurred.

WARNING: The pax command returned a non-zero exit status (exit status 1).

ERROR:   The find_files command failed (exit status 141).



=======  08/02/16 01:17:36 KST  make_tape_recovery completed unsuccessfully

OS MONTHLY BACKUP END   AT Mon Aug  1 16:17:36 UTC 2016

-------------------------------------------------------------------------------------------------------------------------------------------


write error 가 발생, 즉 해당 테이프의 I/O 에 문제가 생겼다고 판단하여 I/O Test 진행. 


1. I/O 테스트라고 하지만 거창한것은 아님. 로그파일 같은것들 tar로 묶어서, tape에 넣어본다.

  • cd /var/opt/resmon/log      -> tar 명령어로 묶을때, 절대경로로 묶게되면 풀때도 절대경로에 풀림
  • tar cvf /dev/rmt/0m *         -> /dev/rmt/0m tape 장치에 현재경로의 모든파일을 묶어서 넣음
  • tar tvf /dev/rmt/0m           -> tape 장치에 제대로 쓰여졌는지 확인.
  • cd /test                           -> tar 파일을 풀고싶은 경로로 이동
  • tar xvf /dev/rmt/0m           -> 실행후 정상적으로 풀렸는지 확인.

여기까지 진행 된다면, I/O 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백업을 진행하면된다.

하지만 그래도 같은에러가 발생하게 된다면 pax 관련 patch(PHCO_28414) 패치를 진행하자.

해보진 않았지만 일단은 그렇다고한다. 

참고로 HPE 패치관련 파일들은 권한이 필요하다고 함.


-----------------------------------------------------------------------------------자주쓰는 tar와 mt명령어-------------------------------------------------------------------------------

tar cvf [생성될 tar파일명.tar] [묶을 파일의 경로] -> 파일의 경로가 절대경로면 풀때도 절대경로에풀림

tar tvf [묶인 내용을 볼 tar파일명]

tar xvf [풀 tar파일명]


mt -f /dev/rmt/0m status : 해당 장치의 상태. 값이 0 0일경우 맨 앞으로 감겨있다는 의미.

mt -f /dev/rmt/0m offl : tape 를 되감은뒤, offline 으로 만듦.= 처음으로 되감고 끄집어냄(eject)

mt -f /dev/rmt/0m rew : tape 를 되감음.

여기서 /dev/mt/0m 과 0mn 의 차이는 해당 옵션을 수행할때, 되감기(rewind)까지 수행 하느냐

안하느냐의 차이.

n 을 붙이게되면 rewind 하지 않으므로, 되감기가 필요한경우 rew옵션으로 명령어를 한번 더넣어줘야함.



*참고 : tar 로 묶을시, 커맨드라인 맨 왼쪽에 a, 풀때 x 는 정상적으로 실행됐다는 의미.

+ Recent posts